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기각과 각하의 차이
    정보

    기각과 각하는 법적인 절차에서 소송이나 신청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아주 명확한 차이가 있어요. 기각은 일단 청구한 내용 자체를 살펴보고 나서, 그 주장이 이유가 없다고 판단해서 거절하는 것을 말해요. 반면에 각하는 소송을 위한 기본적인 요건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내용 자체를 아예 들여다보지도 않고 절차를 마무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차이를 알아두면 법률 용어를 이해하는 데 정말 큰 도움이 된답니다.

     

    기각과 각하의 차이

     

    먼저 기각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볼게요. 기각은 법원에서 어떤 사건에 대해 심리를 진행한 결과, 신청이나 청구를 한 사람의 주장이 법적으로 타당한 이유가 없다고 판단될 때 내리는 결정이에요. 쉽게 말해서, 법원이 이야기를 들어보기는 했는데, "음, 당신의 주장은 받아들일 만한 근거가 부족하네요"라고 결론을 내리는 거죠.

     

    예를 들어서, 어떤 사람이 돈을 빌려줬는데 갚지 않는다며 소송을 걸었다고 생각해봐요. 그런데 법원에서 증거들을 꼼꼼히 살펴보니 돈을 빌려줬다는 사실을 입증할 만한 차용증이나 계좌이체 내역 같은 증거가 전혀 없는 거예요. 이런 경우 법원은 소송의 내용은 살펴봤지만, 주장을 뒷받침할 근거가 없기 때문에 '청구 기각' 판결을 내리게 됩니다. 즉, 절차적으로는 문제가 없었지만 내용 면에서 거절당한 것이라고 이해하면 쉬워요.

     

    다음으로 각하에 대해 설명해 드릴게요. 각하는 기각과는 다르게, 법원이 사건의 내용 자체를 판단하지 않고 그냥 절차를 끝내버리는 결정이에요. 왜냐하면 소송이나 신청이 법에서 정한 기본적인 형식이나 요건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죠. "내용을 살펴볼 것도 없이, 이건 기본적인 조건부터가 틀렸네요"라면서 돌려보내는 것과 같아요.

     

    예를 들어, 소송은 아무 때나 제기할 수 있는 게 아니라 법적으로 정해진 기간 안에 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요. 만약 이 기간을 하루라도 넘겨서 소송을 제기했다면, 법원은 그 내용이 타당한지 아닌지를 따져보지도 않고 바로 '소 각하' 결정을 내립니다. 소송을 제기할 자격이 없는 사람이 소송을 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각하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각하는 내용 심사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입장권 자체를 얻지 못한 상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렇게 두 단어는 결과적으로는 자신의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비슷하게 보일 수 있지만, 그 과정에는 아주 큰 차이가 있는 거예요. 기각은 본선 경기까지 올라가서 실력을 겨뤄봤지만 판정패한 것과 비슷하고, 각하는 아예 예선전에서 서류 미비로 탈락한 것에 비유할 수 있어요.

     

    따라서 법적인 절차를 진행할 때는 내가 제기하는 소송이나 신청이 '각하'되지 않도록 절차적인 요건을 꼼꼼하게 확인하는 것이 정말 중요해요. 필요한 서류는 다 챙겼는지, 기간은 넘기지 않았는지 등을 먼저 확인해야 법원에서 나의 주장을 제대로 심리할 기회라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각은 내용의 문제, 각하는 절차의 문제라고 기억해두시면 헷갈리지 않을 거예요.

     

    조금 더 구체적인 상황을 가정해서 다시 한번 비교해 볼게요. 만약에 A라는 사람이 B라는 사람을 상대로 "B가 나에게 심한 욕설을 해서 정신적인 피해를 입었으니, 위자료를 지급하라"는 소송을 제기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때 법원이 증거를 다 살펴보고 심리를 한 끝에, B가 욕설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사회 통념상 위자료를 지급할 만큼 심한 수준은 아니라고 판단한다면, 이것은 '청구 기각'이 됩니다. 반면에, A가 소송을 제기하면서 법원에 내야 하는 수수료(인지대)를 내지 않았다면, 법원은 소송 내용과는 상관없이 절차상의 문제를 이유로 '소 각하' 결정을 내리게 됩니다. 이제 차이점이 확실히 와닿으시죠?

     

    결론적으로, 기각각하는 법률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게 구분해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어떤 결정을 받았는지에 따라 이후에 다시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지 여부 등 법적인 효과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 두 개념의 차이를 정확하게 아는 것은 법적 상황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혹시라도 법적인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면, 내가 준비하는 서류나 절차가 혹시 '각하' 사유에 해당하지는 않는지 먼저 꼼꼼히 살피고, 그 다음에 '기각'되지 않도록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를 충분히 마련하는 순서로 준비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입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