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에서 모르는 한자를 찾고 싶을 땐 네이버 한자 사전에 들어가서 필기 인식 기능을 쓰면 아주 쉬워요. 연필 모양을 누르고 마우스로 한자를 따라 그리면 비슷한 한자들이 옆에 쭉 나오는데, 거기서 내가 찾던 한자를 고르기만 하면 뜻과 소리를 바로 알 수 있답니다. 글자를 몰라도 그림 그리듯이 찾을 수 있어서 정말 편리한 방법이에요.
네이버 한자 필기 인식
가장 먼저 네이버 한자 사전이라고 검색해서 홈페이지로 들어가야 해요. 이 곳에 들어가면 화면에 한자를 찾을 수 있는 여러가지 방법들이 보이는데, 부수나 총획수처럼 어려운 방법 말고도 오늘 우리가 알아볼 필기 인식 기능이 큼지막하게 자리잡고 있답니다. 한자를 잘 몰라도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어서 처음 방문해도 전혀 어렵지 않을 거에요.
이 외에도 고사성어를 찾아보거나 수준별로 한자를 공부할 수 있는 유익한 정보들도 가득하니까, 나중에 한 번 둘러보는 것도 좋은 공부가 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화면을 잘 살펴보면 한자를 입력하는 검색창이 보일텐데요, 그 바로 오른쪽에 조그만 연필 모양의 그림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바로 저 그림이 우리가 사용하게 될 한자 필기 인식 기능을 실행하는 버튼이에요. 망설이지 말고 마우스로 저 연필 그림을 꾹 눌러주시면, 곧바로 한자를 그릴 수 있는 새로운 창이 나타나게 될 겁니다.
이제 화면 왼쪽에 나타난 네모난 빈칸에 마우스를 이용해서 찾고 싶은 한자를 그려 넣으면 됩니다. 붓글씨 쓰듯이 너무 잘 그리려고 애쓰지 않아도 괜찮아요. 그냥 대충 비슷한 모양으로만 그려도 똑똑한 네이버 한자 필기 인식 시스템이 알아서 척척 비슷한 한자들을 찾아주거든요. 한 획 한 획 그릴 때마다 오른쪽에 비슷한 한자들이 계속해서 바뀌며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글자를 다 그렸다면 이제 화면 오른쪽에 나온 결과물들을 살펴볼 차례에요. 최대 20개까지 비슷한 한자들이 목록으로 나오는데, 이 중에서 내가 찾으려고 했던 한자가 있는지 천천히 확인해보세요. 대부분의 경우 이 목록 안에서 원하는 한자를 쉽게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정확하게 그리지 않아도 인식률이 아주 높은 편이라 정말 신기하고 편리하답니다.
찾는 한자를 발견했다면, 마우스 커서를 그 한자 위로 살짝 가져가 보세요. 그러면 작게 팝업창이 뜨면서 해당 한자의 뜻과 소리, 즉 훈음이 표시됩니다. 여기서 내가 찾던 한자가 맞는지 최종적으로 확인하고, 맞다면 마우스로 클릭해서 선택해주면 됩니다.
짜잔! 이렇게 검색을 완료하면 선택한 한자에 대한 아주 자세하고 풍부한 정보들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이 한자가 어떤 뜻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단어에 사용되는지, 그리고 필순은 어떻게 되는지 등 한자와 관련된 모든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정보들이 가득하답니다. 네이버 한자 필기 인식만 있으면 이제 어떤 한자를 만나도 두렵지 않겠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