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보건증 발급
    정보

    온라인으로 보건증을 발급받으려면 공공보건포털(G-health) 홈페이지를 이용하면 됩니다. 여기서 간단한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친 후에, 검사 결과를 확인하고 건강진단결과서를 바로 출력할 수 있어요. 보건소에 직접 가지 않아도 되니까 정말 편리하답니다.

     

    보건증 발급

     

    보건증을 인터넷으로 받으려면 먼저 정부24 홈페이지에 들어가봐야 해요. 여기가 나라에서 하는 여러 가지 민원 서비스들을 한꺼번에 모아놓은 곳이라서, 보건증 발급에 대한 안내도 여기서 찾아볼 수 있거든요. 검색창에 '보건증'이라고 치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쉽게 알 수 있답니다.

     

    홈페이지에 들어갔으면 이제 검색창을 찾아야겠죠? 화면에 보이는 검색하는 곳에다가 ‘보건증’이라고 글자를 입력하고 찾아보세요. 이렇게 하면 보건증 발급과 관련된 여러가지 서비스들이 나오는데, 우리가 필요한 건 바로 건강진단결과서 발급 서비스에요. 찾기 쉽게 되어 있으니 금방 보일 거예요.

     

    물론 검색을 하면 관련된 내용이 여러개 나올수도 있는데 그중에서 우리가 해야하는건 건강진단결과서(보건증) 발급 서비스를 클릭해야 합니다. 이 메뉴를 선택해야 보건증 발급 절차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니, 다른걸 누르지 않도록 주의해야해요.

     

    검색 결과에서 건강진단결과서(보건증) 발급 서비스를 클릭합니다. 이 옵션을 선택하면 보건증 발급 절차에 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보건증을 어떻게 받을 수 있는지 전체적인 설명이 나와 있어요. 보건소에 직접 가서 신청하고 검사받는 방법도 있고, 인터넷으로 편하게 받는 방법도 안내되어 있죠. 우리는 인터넷으로 받을 거니까 공공보건포털(G-health)이라는 곳으로 이동해야 한다는 걸 기억하면 돼요. 오프라인으로 받으려면 5일정도 걸린다고 하네요.

     

    이제 진짜 발급을 받을 수 있는 공공보건포털(G-health) 홈페이지로 왔어요. 화면 위쪽을 보면 여러 메뉴들이 있는데, 그중에서 ‘온라인 민원서비스’를 찾고, 그 아래에 있는 ‘제증명발급’을 눌러주면 된답니다. 여기가 바로 보건증뿐만 아니라 다른 건강 관련 증명서도 받을 수 있는 곳이에요.

     

    증명서를 아무나 막 떼면 안되니까, 본인 확인을 꼭 해야 해요. 이름이랑 주민등록번호를 정확하게 입력해야 하고요. 그 다음에는 핸드폰이나 공동인증서(예전 공인인증서) 같은 여러 방법 중에서 내가 편한 걸로 본인인증을 하면 됩니다. 이 과정만 통과하면 거의 다 끝난거나 마찬가지에요.

     

    본인 확인이 끝나면 이제 진짜 내 보건증을 발급받을 수 있는 화면이 나와요. 신청하고 발급받은 내역 목록에서 '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 항목을 찾아서 누르기만 하면 끝이에요. 이걸 누르면 바로 인쇄하거나 파일로 저장할 수 있게 되어있어서, 필요할 때 바로 제출할 수 있답니다. 정말 간단하죠?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