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목포생활도자박물관 입장료, 운영시간
    국내/박물관, 미술관

     

    목포에 있는 목포생활도자박물관에 대한 정보를 알려드릴게요. 혹시나 방문 계획이 있으신 분들은 미리 알아두면 좋을 것 같아요. 이 박물관에 대한 여러가지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의 '관람정보' 부분에 있는 '관람안내'를 찾아보면 아주 자세하게 나와있답니다. 여기에는 어린이체험실이나 다른 전시실에 대한 안내도 같이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박물관을 언제 갈 수 있는지 운영시간을 알아볼까요. 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평일에는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문을 열어요. 그리고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에도 똑같이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관람할 수 있습니다. 6월부터 8월까지 여름 기간에는 1시간 더 길게 운영한다고 하니 저녁 늦게까지도 구경할 수 있겠네요.

     

    다만, 문을 닫는 날도 꼭 확인해야 해요. 1월 1일과 매주 월요일은 휴관일이라서 방문해도 소용이 없어요. 만약 월요일이 공휴일이라면 그 다음 날이 쉬는 날이 되니 이 점도 잊지 마세요. 입장 마감은 오후 5시니까 적어도 5시 전에는 도착해야 여유롭게 둘러볼 수 있겠죠.

     

     

    이제 가장 궁금해하실 일반 관람객의 입장료 정보예요. 어른은 개인으로 가면 3,000원이고, 청소년과 군인은 2,000원이에요. 초등학생은 1,000원, 유치원생은 500원의 요금을 내면 된답니다. 혹시 20명 이상 단체로 방문할 계획이 있다면 할인을 받을 수 있어요.

     

    단체 요금은 어른이 2,500원, 청소년 및 군인이 1,500원, 초등학생은 700원으로 개인으로 갈 때보다 조금 더 저렴하죠. 유치원생은 단체로 가도 똑같이 500원이네요. 가족이나 친구들과 여럿이 함께 간다면 단체 할인이 되는지 인원을 잘 세어보는 게 좋겠어요.

     

     

    혹시 목포시나 신안군에 사는 주민이시라면 정말 좋은 소식이 있어요. 무려 50%나 할인을 받을 수 있거든요. 신분증을 꼭 챙겨가서 보여줘야 할인을 받을 수 있다는 점 기억해주세요. 개인으로 갈 경우 어른은 1,500원, 청소년과 군인은 1,000원만 내면 됩니다.

     

    놀랍게도 초등학생과 유치원생은 무료로 입장이 가능하대요. 단체로 방문하는 경우에도 할인이 되는데, 어른은 1,200원, 청소년 및 군인은 700원이고, 초등학생과 유치원생은 역시나 무료입니다. 해당 지역 주민이라면 신분증 하나로 정말 저렴하게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겠네요.

     

     

    관람 요금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도 있어요. 자연사박물관 입장권 1장만 있으면 자연사관, 문예역사관, 생활도자박물관까지 전부 구경할 수 있다고 하니 정말 좋죠. 그리고 무료로 관람할 수 있는 분들도 있는데요, 65세 이상 어르신, 국가유공자, 독립유공자, 5.18민주유공자, 장애인과 보호자 1명이 해당됩니다.

     

    또 목포시에 사는 초등학생 이하 어린이와 유효한 목포시 섬지역 세대주민증을 가진 분도 무료예요. 나이 구분이 헷갈릴 수 있는데, 유치원생은 6세 이하 취학 전 아동, 초등학생은 7세에서 12세, 청소년 및 군인은 13세에서 18세 청소년이나 학생증을 가진 대학생, 하사 이하 군인이고, 어른은 19세 이상 64세 이하를 말해요.

     

     

    박물관을 구경할 때는 몇 가지 지켜야 할 유의사항이 있어요. 먼저, 정해진 관람 순서에 따라 움직여야 하고, 다른 사람에게 방해가 되지 않게 조용히 관람하는 것이 예의겠죠. 아이들과 함께 왔다면 떠들거나 뛰어다니지 않도록 잘 지도해야 합니다.

     

    사진 촬영이 금지된 전시물은 찍으면 안 되고, 플래시 사용도 당연히 안됩니다. 과자나 음료수, 도시락 같은 음식물은 가지고 들어갈 수 없으며, 박물관의 모든 구역은 금연구역이에요. 반려동물 출입도 금지되어 있고, 작품에 손을 대는 행동도 절대 하면 안 됩니다. 마지막으로 휴대폰은 진동으로 바꾸는 센스도 잊지 마세요.

    댓글

Designed by Tistory.